주의 사항
페도라, 우분투, 리눅스민트 등을 설치할 경우에는 예상치 못한 문제로 부팅파일일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요.
윈도우를 다시 설치할 수 있는 경우는 직접 하드에 설치해도 괜찮은데요.
그렇치 못한 경우에는 직접 하드에 설치하는 것보다는 버추얼박스 같은 가상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세요.
리눅스 배포판의 한 종류인 페도라를 직접 컴퓨터에 설치할 때 막히는 부분이 바로 파티션입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가 설치된 상태에서 페도라를 설치하고자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경우에는 직접 파티션을 설정해 주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1. 가장 간단한 파티션 설정
2개의 파티션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스왑 파티션+페도라 설치 파티션]
페도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리눅스는 스왑 파티션이 필수요건입니다.
윈도우와는 설치할 때 다른 부분이라서 생소한데요.
스왑 파티션은 가상 메모리 역할을 하는 부분이에요.
마운트 위치는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용량은 실제 컴 메모리 1-2배 정도 설정하세요.
페도라 설치 파티션은 마운트 위치를 ‘/’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아요.
용량은 10기가 이상 정도 설정하면 무난할 것 같아요.
create custom layout
sda1-윈도우 설치된 상태
sda2-두번째 파티션으로 페도라 설치할 공간
기본적은 파티션으로 스왑 파티션과 / 페도라 설치 파티션만 설정한 상황
2. 두 번째 방법
옵션 파티션도 같이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페도라 설치 화면에서 보이는 모든 옵션 파티션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파티션 크기는 적당하게 설정하세요.
저는 하드 용량이 부족해서 500메가로만 할당합니다.
'Fedora16K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Wallet & kleopatra 페도라(fedora-16-KDE) (0) | 2012.01.24 |
---|---|
Fedora boot loader (0) | 2012.01.21 |
Konsole 페도라(fedora-16-KDE) (4) | 2012.01.20 |
SElinux Alert Browse & system monitor 페도라(fedora-16-KDE) (0) | 2012.01.19 |
Screen resize rotate 페도라(fedora-16-KDE) (2) | 2012.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