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젯 악성코드 확인해 보세요

블로그 수익 모델 중 하나로 애드젯을 달고 계신 분들이 많으신데요.


지난 주말 7일부터 제 블로그에 구글 크롬이나 맥 사파리로 접속할 경우 악성코드가 보입니다.

저도 도데체 무슨 원인인지 몰라서 검색을 해 보니 애드젯이 문제였군요.

저도 이웃분이 알려 주셔서 알았지요.

크롬 사실 사용 한 하거든요.


http://kjcc2.tistory.com/1343

이 분 블로그에 보면 악성코드 기법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내용은 너무 어렵군요ㅜㅜㅜㅜ


현재 애드젯 홈페이지에서 공지사항에 이 부분에 관한 내용은 보이지 않아요.

이번 건도 애드젯 해킹이 확실하다면 저번 주에 이이어 2주 연속으로 주말마다 해킹 당했네요.


혹시 여러분들도 자신 블로그에 애드젯을 다시고 계신다면 크롬으로 확인해 보세요.

악성코드 홈페이지라는 경고창이 보일 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 네이버와 티스토리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데요.

네이버는 현재 악성코드 경고창이 보이지 않네요.

티스토리는 본인이 직접 안전진단을 수행해야 합니다.


티스토리 고객센터 답변

또한, 이전에 문의하셨던 구글 크롬의 노출 알림의 경우, 구글측의 안전 브라우징 진단페이지에서 안전한 사이트로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말씀하신 아래의 주소로 이동하셔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http://safebrowsing.clients.google.com/safebrowsing/diagnostic?site=http%3A%2F%2Fubuntuk.tistory.com%2F&client=googlechrome&hl=ko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다른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지 ☞ Daum 고객센터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악성코드의 주요 특징은 다른 분 블로그에 덧글을 달 수 없어요.

아직까지 제 블로그 주소가 악성코드로 등록되어 있어요.

그래서 다른 분들 블로그에 제 주소가 들어가는 덧글을 작성할 경우 그 분 블로그도 악성코드로 표시되요.


아직까지 애드젯 홈페이지에서 1월 7일경에 발생한 악성코드 유포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어요.

추후에 경과를 지켜보도록 하죠.

실제로는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아직까지 모르겠네요.
애드젯에서는 아직 확인 중이라고 합니다.